본문 바로가기
정보

윈도우 계정 변경, 더 이상 골치 아프지 않아요! 💡

by 543asjfjafa 2025. 9. 30.
윈도우 계정 변경, 더 이상 골치 아프지 않아요! 💡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윈도우 계정 변경, 더 이상 골치 아프지 않아요! 💡

 

목차

  1. 윈도우 계정 변경, 왜 필요할까요?
  2. 계정 변경 전, 꼭 확인해야 할 사항
  3. 관리자 권한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4. 새로운 로컬 계정 생성 방법
  5. 기존 계정에서 새 계정으로 데이터 옮기기
  6.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결 및 변경 방법
  7. 계정 삭제 및 마무리

윈도우 계정 변경, 왜 필요할까요?

가족 간 PC를 공유하거나, 회사에서 사용하던 PC를 개인 용도로 전환할 때, 또는 단순히 새로운 이름을 사용하고 싶을 때 윈도우 계정 변경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잘못하면 기존의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될 수도 있죠. 이 글에서는 윈도우 10 및 11 환경에서 안전하고 완벽하게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기존 계정의 데이터를 새로운 계정으로 옮기는 방법까지 포함되어 있으니, 모든 과정을 따라 하시면 문제없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계정 변경 전, 꼭 확인해야 할 사항

계정 변경을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첫째, 현재 로그인된 계정이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관리자 권한이 없으면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거나 기존 계정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설정' → '계정' → '사용자 정보'에서 확인 가능하며, 만약 표준 계정이라면 관리자에게 권한을 요청해야 합니다. 둘째,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백업해야 합니다. 바탕 화면, 문서, 사진 등 C 드라이브에 저장된 모든 파일은 외부 저장 장치(USB, 외장 하드 등)나 클라우드 서비스(OneDrive, Google Drive 등)에 백업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셋째, 기존 계정에서 사용하던 프로그램 목록을 정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새 계정에서도 동일한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할 수 있으므로, 재설치가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미리 파악해 두면 편리합니다.

관리자 권한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새로운 계정을 만들고 기존 계정을 삭제하려면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로그인해야 합니다. 이미 관리자 계정을 사용 중이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 좋습니다. 만약 현재 계정이 표준 계정이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관리자 계정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먼저, '시작' 메뉴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Windows 터미널(관리자)' 또는 '명령 프롬프트(관리자)'를 선택합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창이 나타나면 '예'를 클릭합니다. 검은색 터미널 창에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이 명령어는 숨겨져 있던 기본 관리자 계정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제 PC를 재부팅하면 로그인 화면에 '관리자' 계정이 나타납니다.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로컬 계정 생성 방법

이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할 차례입니다.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상태에서 '설정' → '계정'으로 이동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가족 및 다른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다른 사용자 추가' 항목에서 '이 PC에 다른 사용자 추가'를 클릭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라는 창이 나타나는데, 지금은 로컬 계정을 만들 것이므로 '이 사람의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를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사용자 추가'를 선택합니다. 이제 새 계정에 사용할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때를 대비해 보안 질문 3개를 설정해야 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을 클릭하면 새로운 로컬 계정이 생성됩니다.

기존 계정에서 새 계정으로 데이터 옮기기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 데이터 이동입니다. 기존 계정의 모든 파일을 새 계정으로 옮겨야 합니다. 먼저,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상태에서 파일 탐색기를 엽니다. 'C:\Users' 폴더로 이동하면 기존 사용자 계정 이름으로 된 폴더와 새로 만든 계정 이름으로 된 폴더가 보일 것입니다. 기존 계정 폴더로 들어가서 '바탕 화면', '문서', '다운로드', '사진', '동영상' 등 필요한 폴더들을 모두 복사합니다. 이 작업은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습니다. 복사가 완료되면, 새로 만든 계정 폴더로 이동하여 해당 폴더에 붙여넣기 합니다. 모든 데이터가 올바르게 복사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혹시 놓친 파일이 없는지 꼼꼼하게 확인하세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결 및 변경 방법

새로 만든 로컬 계정에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연결하고 싶다면,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설정' → '계정' → '사용자 정보'로 이동합니다. '대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을 클릭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이렇게 하면 새로운 로컬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동되어 OneDrive,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Xbox 등 다양한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를 seamlessly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만약 새로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만들고 싶다면, 이 과정에서 '새 계정 만들기'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계정이 여러 개라면, 필요한 계정을 연동하면 됩니다.

계정 삭제 및 마무리

모든 데이터 이동과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기존 계정을 삭제할 차례입니다. '관리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합니다. '설정' → '계정' → '가족 및 다른 사용자'로 이동합니다. 삭제하려는 기존 계정을 선택하고 '제거'를 클릭합니다. 이때 '계정과 데이터 삭제'라는 경고창이 나타나는데, 이미 데이터 백업을 마쳤으므로 '계정 및 데이터 삭제'를 과감하게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기존 계정과 해당 계정에 저장된 모든 파일이 PC에서 완전히 제거됩니다. 이제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 PC를 재부팅하여 새로 만든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깔끔하게 정리된 새로운 윈도우 환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윈도우 10 및 11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각 단계마다 주의 깊게 따라 하시면 아무 문제 없이 계정을 변경할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